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커피 섭취를 중단해야 할 경우

by 쉐마 2021. 5. 15.
728x90
반응형

우리가 마시는 커피는 집중력을 높이기도 하고 간암 예방을 돕는 등 여러가지 건강효과가 확인되었지만 또한 논란이 많은 식품이고도 합니다. 병을 치료하는 약에도 부작용이 있듯이 커피도 바람직하지 못한 작용을 할 수 있는데요. 건강을 위해 커피 마시기를 중단해야 할 상황이 언제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수면장애, 불면증이 심한 경우

잠드는데 어려움이 크다면 커피를 잠시 끊고 증상이 나아진 후 마시는게 현명하다고 합니다. 커피를 꼭 마시겠다면 오후 3시 이전까지를 데드라인으로 두는게 좋은데요. 각성 효과를 내는 카페인 성분이 몸속에 완전히 사라지는 데 걸리는 시간이 8시간 이라고 합니다. 탄산음료.초콜릿 등 다른 식품에도 카페인이 들어 있는 검을 염두해 두시기 바랍니다.

 

2. 위염, 위궤양 등 위 점막이 좋지 않은 경우

이른 아침에 속이 쓰린 이유는 공복에 독한 위산이 분비되기 때문입니다. 커피는 위산의 분비를 증가시키는데요. 위염, 위궤양 등 위 점막이 좋은 않은 사람들은 커피를 절제하거나, 잠시 끊는게 좋다고 합니다. 위음 염증에는 패스트푸드, 맵고 짠 음식, 탄산 음료, 우유도 좋지 않습니다.

 

3. 위식도역류질환 악화가 걱정되는 사람

커피는 식도를 조여주는 괄약근의 압력을 낮춘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이로 인해 위의 내용물이 조금씩 식도로 역류해 식도 점막이 손상되는 위식도 역류질환이 악화될 수 있는데요. 개인차가 크지만 증상이 심하면 커피 중단을 고려해야 합니다. 역시 카페인이 든 홍차, 녹차도 절제해야 한다고 합니다.

 

4. 골다공증이 심한 경우

보건복지부의 2020년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을 보면 우리나라 국민들은 칼슘 섭취량이 낮아 50세 이상 여성의 경우 골감소증 유병률이 매우 높다고 합니다. 카페인은 몸속에서 칼슘 배설을 촉진하기 때문에 커피를 절제하거나 골다공증이 심하면 커피 섭취를 중단하는게 좋습니다. 칼슘이 많은 멸치, 달걀, 상추 등을 많이 먹어야 합니다.

 

5. 빈뇨 증상으로 곤혹스러운 경우

외출 중에 소변이 자주 마려우면 불편합니다. 화장실 가기가 여의치 않은 상황을 앞두고 있다면 커피를 마시지 않는 좋습니다. 커피를 비롯해 콜라 등 카페인이 든 음료는 이뇨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6. 약을 먹는 경우

감기약을 복용할 때도 카페인이 많이 든 커피를 마시지 않는 게 좋습니다. 탄산음료, 초콜릿 등도 카페인 함량을 살펴야 합니다. 감기약이나 복합 진통제에는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는데, 커피 등을 마시면 카페인 과잉 섭취로 가슴 두근거림, 불면증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