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배우 최초로 오스카 트로피를 품에 안은 배우 윤여정이 2억원이 넘는 '스웨그 백(Swag bag)'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제93회 아카데미상 시상식에서 영화 '미나리'로 여우조연상을 받은 윤여정은 상금은 없고 공식적으로 제작비 500달러(한화 48만원) 수준의 오스카 트로피만 손에 쥐는데요.

하지만 상금이 없는대신 윤여정은 아카데미 전통의 선물 가방인 '스웨그 백'을 받게 됩니다. 가방에 담긴 물품들이 20만 5000달러(약 2억 2800만원)의 가치를 지닌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스웨그 백(Swag bag)은 오스카와는 무관하다고 합니다. 엔터테인먼트 마케팅 회사인 디스팅그리브 애셋이 지난 2000년부터 마케팅 차원으로 25명의 오스카 감독상, 남우주.조연상, 여우주.조연상 등의 후보들에게 제공해 온 것으로 매해 선물 구성이 달라진다고 합니다.
디스팅크티브 애셋 측은 "올해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해 선물을 구성했다"면서 "단지 공짜 물건이 들어있는 가방이라기보다는 더 큰 목적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느끼길 원한다"고 선물의 의미를 전했습니다.
올해에는 주제가 '팬데믹 해'인 만큼 스웨그 백(Swag bag)에는 건강 관련 용품과 서비스가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숙취를 위한 비타민 테라피, 순금 전자담배, 수면 상태를 기록하는 헤어밴드, 무료 퍼스널 트레이닝(PT), 무료 지방흡입 시술, 건강 보조제, 데킬라와 위스키, 신발 등이 포함되어있습니다. 무엇보다 스웨덴 외딴 섬의 고급 호텔인 '페이터노스터 호텔' 리조트의 무료 숙박권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페이터노스터 호텔은 110여 년간 등대를 지키던 등대지기와 그의 가족 그리고 스태프들이 거주하던 집들이 마치 마을처럼 옹기종기 모여있던 곳을 호텔로 복원하며 9개의 객실을 갖춘 호텔로 탈바꿈한 곳이라고 합니다. 도시와 세상으로부터 잠시 쉴 수 있는 휴식처로 디자인한 것이 이 호텔의 특징이라고 합니다.

이와 함께 지난해 고인이 된 배우 채드윅 보스만을 기리기 위한 NFT카드도 포함되어있습니다. NFT는 비트코인처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대 디지털 콘텐츠에 별도의 고유한 인식 값을 부여한 것으로 영상, 그림, 음악 등을 복제 불가능한 디지털 세계의 원작으로 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
한편 지난해(2020년) 스웨그 백에는 8만 달러(약 8900만원) 상당의 크루즈 여행권을 비롯해 순금 펜, 다이아몬드 목걸이, 현관문 제작 이용권, 소변 검사권, 인생 코치 전화 통화권 등 독특한 선물이 들어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오스카에서 영화 '기생충'으로 감독상을 수상한 봉준호 감독이 이 선물가방을 받았습니다.
댓글